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가상 걸그룹 ‘헌트릭스(HUNTR/X)’가 더 이상 가상에 머물지 않는다. 극 중 캐릭터의 실제 보컬을 맡은 세 명의 아티스트 이재(EJAE), 오드리 누나(AUDREY NUNA), 레이 아미(REI AMI)가 오는 9월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UBS 아레나에서 열리는 ‘2025 MTV 비디오 뮤직 어워즈’ 무대에 시상자로 나선다. 이번 행사는 ‘헌트릭스’가 대중 앞에 처음으로 실체를 드러내는 공식 무대라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특히 이들이 부른 OST ‘골든(Golden)’은 빌보드 핫100 차트 1위를 세 차례 기록하며 글로벌 히트를 기록했고, 틱톡·릴스 등 숏폼 플랫폼에서 수많은 패러디를 낳으며 ‘케데헌’ 신드롬을 이끌고 있다. 이재는 SM엔터테인먼트 연습생 출신의 실력파 작곡가로, 극 중 리더 루미의 목소리를 맡았다. 오드리 누나는 미국 내 힙합 기반 신예 뮤지션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 국내 ‘인천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 무대에도 섰다. 레이 아미 역시 독창적인 음색으로 급부상 중인 아티스트다. 이들은 모두 한국계 미국인으로, K-팝의 세계화를 가상 콘텐츠라는 새로운 틀에서 구현해냈다는 평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의 연출을 맡은 매기 강(Maggie Kang, 한국명 강민지) 감독이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해 작품에 얽힌 비하인드와 진심 어린 소회를 전했다.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20년 넘게 스토리보드 아티스트로 활약해온 매기 강 감독에게 '케데헌'은 첫 연출작이자, 한국 문화에 대한 애정이 담긴 일생일대의 프로젝트였다. 방송에서 매기 감독은 “‘이런 영화가 왜 없지?’라는 질문에서 시작했다”며 “한국 문화를 제대로 담은 애니메이션이 없다는 사실에 아쉬움이 컸다. 내가 할 수 있는 위치에 올라섰을 때 자연스럽게 ‘내가 만들자’는 결심이 섰다”고 밝혔다. 실제로 '케데헌'은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저승사자와 도깨비 등 전통 설화에서 모티브를 얻은 악귀들이 K팝 걸그룹 ‘헌트릭스’와 그들의 음악에 의해 퇴치된다는 독특한 설정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서울타워, 북촌 한옥마을, 지하철, 목욕탕 등 한국의 일상적 공간이 생생히 그려진 점 또한 글로벌 시청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이를 위해 매기 강 감독은 한국을 직접 여행하며 로케이션 조사를 진행했다.
글로벌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중심에는 걸그룹 '헌트릭스'의 리더 ‘루미’가 있다. 극 중 ‘루미’의 노래 목소리를 맡은 이는 놀랍게도 K팝 작곡가 겸 싱어송라이터 이재(EJAE, 본명 김은재). 더욱 놀라운 사실은, 그녀가 한국 영화계의 살아 있는 전설 신영균의 외손녀라는 것이다. 이재는 과거 SM엔터테인먼트에서 약 10년간 연습생 생활을 하며 아이돌 데뷔를 준비했다. 데뷔라는 문턱을 넘지는 못했지만, 그녀는 음악에 대한 열정을 멈추지 않았다. 2016년 EXID 하니의 솔로곡 ‘헬로(Hello)’를 통해 작곡가로 첫 발을 내디딘 이후, 레드벨벳 ‘Psycho’, 에스파 ‘Drama’, 트와이스, 엔믹스, 르세라핌 등 다수 K팝 아티스트들의 곡 작업에 참여하며 존재감을 쌓아왔다. 이번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이재에게 있어 또 다른 전환점이다. 그녀는 OST의 대표곡 ‘골든(Golden)’의 작사·작곡은 물론 가창까지 직접 소화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골든’은 현재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100’에서 6위를 기록, K팝 OST 사상 전례 없는 기록을 세우고 있으며, 2026년 아카데미 주제가상 후